2024학년도 수능 시험일도 이제 200일 남짓 남았습니다.
앞으로 남은 일정들을 살펴보고 어떤 대비를 해야 할지 알아봅시다
2024 학년도 대입 주요 일정
2024 학년도 대입 대비하기
부족한 학업 내용 보강
학생부 취약 분야 분석하기 (학생부 종합전형)
본인이 지원하고자 하는 희망 대학의 내신반영방법을 확인한 후, 본인의 내신성적 분석을 통해 3학년 1학기 동안 내신성적을 어떻게 향상시키는 것이 좋을지 계획을 수립합니다. 또한, 학생부 기록 내용 분석을 통해 본인이 어느 분야에 강점이 있고, 어느 분야에 취약한지를 확인하여 취약한 부분을 3학년 1학기 동안 어떻게 보완할 수 있을지 계획해야 합니다.
기본 개념학습 보강하기
모의고사와 내신 정기고사로 인해 부족한 과목의 기본 개념을 학습할 시간을 확보하기 힘듭니다.
본격적으로 수능 관련 문제풀이를 시작하기 전 교과별 핵심 기본 개념을 방학기간 동안 학습하여 학기 중 개념을 알지 못해 문제를 풀지 못하는 일을 방지해야합니다.
입시공부 - 미리 보는 수능 Part1. 전국연합학력평가(학평)
수능을 준비하며 많은 시험을 치르게 되는데요. 오늘은 전국연합학력평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전국연합학력평가(학평) 대학수학능력시험의 모의고사 형식으로 실시하는 시험입니다. 2002년
eduinfo.what-the-new.com
6월 대수능 모의고사 이전
TIPS!
- 1학기 중간고사 대비
- 6월 대수능 모의고사 대비
내신 및 비교과 관련, 내실있게 학교 생활하기
수시모집에서는 1학기 성적 및 학생부 기록 내용만 반영되기 때문에 준비하는 전형에 따라 학교 내신 및 비교과 활동에 성실하게 참여해야 합니다. 2023학년부터 학생부의 수상, 개인봉사활동, 독서활동사항이 대입 반영에서 제외되고.
내신 성적 및 창의적 체험활동, 교과 및 개인별 세부능력 및 특기사항이 더욱 중요하게 되었습니다.
입시공부 - 입시전형 Part 2. 수시 (학생부종합전형)
수시에서 가장 변수가 많은 학생부 종합 전형에 대해 알아보아요. 학생부종합전형 학교생활기록부 비교과를 중심으로 학생을 종합 평가하는 전형입니다. 대학 입학시험의 수시 전형의 20%정도
eduinfo.what-the-new.com
따라서, 학생부교과전형 지원을 준비하는 학생의 경우 본인이 지원하고자 하는 대학이 일반선택과목(석차등급 산출)과
진로선택과목(성취도 산출)을 반영하는 방법을 파악하여 이에 맞는 내신 성적을 받아야 합니다.
학생부종합전형 지원을 준비하는 학생의 경우 겨울방학 동안 진행한 본인 학생부 기재 내용 분석을 바탕으로
본인이 부족한 영역(학업역량, 전공역량, 공동체역량)을 보완할 수 있는 활동을 해야 합니다.
입결 확정 위한 생기부 필수 단어
생기부에 꼭 들어가면 좋을 내용을 알아봅시다. 생활기록부(이하 생기부)의 진가는 학종에서 십분 발휘됩니다. 자소서도 폐지되고 독서활동도 폐지되고.. 과연 생기부에는 무엇을 적어야 할까
eduinfo.what-the-new.com
6월 대수능 모의고사 대비하기
6월 대수능 모의고사는 대학수학능력시험을 출제하는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서 주관하는 시험이기 때문에
대입 수시전형에 지원하기 전 본인의 성적 위치를 파악하기 가장 적합한 시험입니다.
따라서, 대학수학능력시험을 미리 연습해 볼 수 있고 대입 수시모집 지원시 지원 가능선을 판단해 볼 수 있습니다.
9월 대수능 모의고사 이전
TIPS!
- 6월 대수능 모의고사 결과 분석
- 1학기 기말고사 대비
- 부족한 수능 학습 내용 보강
- 수시모집
입시공부 - 미리 보는 수능 Part2. 대학수학능력시험 모의평가 (모평)
대학수학능력시험 모의평가 (모평) 대학수학능력시험을 출제하는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에서 그 해 수험생의 능력 수준을 파악하고 수능의 난이도 조정을 위해 실시하는 모의고사입니다. 2002 년
eduinfo.what-the-new.com
원서 접수
1학기 기말고사 대비
1학기 내신성적까지 대입 수시전형에 반영되기 때문에 기말고사 준비를 철저히 해야 합니다.
간혹 중간고사 성적을 통해 섣불리 정시전형 지원만을 준비하는 학생이 있는데, 기말고사를 준비하는 것과 수능 준비가
교과별 개념학습 측면에서 다르지 않기 때문에 기말고사까지 충실하게 준비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학생부 기록 마감 준비하기
8월 31일 수시전형 학생부 작성 마감 = 기말고사 이후에도 학생부 영역별 기록 내용을 잘 마무리해야 합니다.
6월 대수능 모의고사 결과 분석 및 9월 대수능 모의고사 준비하기
6월 대수능 모의고사 결과를 통해 각 영역별 본인이 취약한 부분을 파악한 후 이를 체계적으로 보완해야 합니다.
단순히 내가 틀린 문제의 정답을 확인하는 방법에 그칠 것이 아니라, 해당 문제를 제대로 이해했는지,
풀이과정의 유추에는 문제가 없었는지, 동일한 내용을 다른 표현방식으로 출제할 경우 풀어낼 자신이 있는지 등을
체크하여 9월 대수능 모의고사를 대비해야 합니다.
6월 대수능 모의고사 성적을 기반으로 대입 수시전형에 지원할 대학과 학과 라인을 결정해야 합니다.
대입 수시모집 원서접수 준비하기
대입 수시모집 지원의 경우 원서접수일에 임박하여 급하게 담임 선생님과 상담하여 지원 전형과 대학 및 학과를
결정하고자 하는 학생이 있는데, 이 경우 단편적인 상담과 지원에 그칠 수 있기 때문에 사전에 원하는 전형의 종류와
대학 및 학과를 정하여 여러 차례 상담을 통해 지원 범위를 좁혀가는 과정을 거쳐야 합니다.
대입 수시모집의 경우 대학별로 원서접수 일정이 다르기 때문에 지원하고자 하는 대학의 원서접수일과 마감 시간을
꼭 확인하여 불이익이 없도록 준비해야 합니다.
'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능으로 대학가기-정시준비 (0) | 2023.04.20 |
---|---|
수능 전후 체크할 것 (0) | 2023.04.20 |
논술전형 대학 및 전형방법 - 수시 (0) | 2023.04.15 |
학종(학생부종합전형)이란 - 수시 (0) | 2023.04.15 |
교과전형(학생부교과전형) 알아보기 - 수시 (0) | 2023.04.15 |
댓글